반응형
Cache
Cache
: 웹 서버측의 임시 메모리 공간이며,
서버의 효율을 위해 사용한다.
Output Cache (출력 캐시)
: 출력 캐시 같은 경우 임시 페이지를 잠시 저장해놓는 공간이며,
한 페이지를 여러명이 접속 시 DB 접속 보다
Cache 에 저장된 페이지를 조회해서 보여준다.
사용방법을 알아보면,
[ 사용 방법 ]
<%@ OutputCache Duration="30" VaryByParam="none" %>
코드 내에 선언
- Duration="30" 30초 간격으로 페이지를 새로 호출을 의미
Ex ) 현재 오후 10시 24분 50초를 웹페이지에 출력 후
새로고침을 해도 30초 동안 시간 변동이 없게 된다.
왜냐하면, Duration을 30초로 설정했긴 때문으로 30초 후 부터
다시 코드를 실행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31초 후 새로고침
- VaryByParam="none"
현재 none 으로 설정을 했지만 값을 입력하면 해당 문자열 파라미터에 따라
캐시가 초기화 됩니다.
Ex) VaryByParam="test"
1) www.url?test=1
2) www.url?test=2
1,2 번의 경로는 test 파라미터 값에 따라 캐시가 달라집니다.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Web Progra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ET / POST (0) | 2022.03.05 |
---|---|
쿠키(Cookie)와 세션(Session) (0) | 2021.04.30 |
CSS 적용하는 방법 (0) | 2020.09.28 |
Substitution (0) | 2020.02.24 |